티스토리 뷰

 

썸네일-대표-이미지

 

본 글은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 가이드 초보자용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 완료」되셨다면 다음 할 일은 내 블로그의 방문자 수와 블로그 내 사용자 행동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구글의 무료 분석도구 「Google Analytics」를 설정하셔야 합니다.

 

본 블로그는 티스토리 계정을 통해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구글 애널리틱스 기본 설정 방법과 티스토리와 Google 애널리틱스를 연결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설정 방법 그대로 따라 하시면 10분 내로 설정 가능하십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란?

 

구글 애널리틱스란 서두에서 말씀드린 대로 내 블로그의 방문자 수와 행동을 분석하는 구글의 무료 분석도구입니다. 내 블로그 방문자수, 체류시간, 광고 클릭률, 광고 수익 등 폭넓은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블로그 수익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필수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내 사이트 또는 블로그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어떤 콘텐츠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는지 또 얼마동안 체류했고, 어떤 콘텐츠에서 빠르게 이탈했는지 등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내 블로그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시면 내 블로그의 애드센스 수익도 같이 성장할 것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 방법

 

1. 구글 계정에 로그인 후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합니다.

2. 구글 애널리틱스가 처음 시작이라면 애널리틱스 홈 화면에서 「측정 시작」을 클릭합니다. 이미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이 있다면 왼쪽 하단 톱니바퀴 모양(관리)을 클릭한 후 「+ 계정만들기」를 클릭합니다.

 

3. 1번 계정설정에서 「계정 이름」에 내 블로그 사이트 명을 입력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꼭 내 블로그 사이트 명을 써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알아보기 쉽게 되도록이면 블로그 사이트 명으로 입력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구글-애널리틱스-계정-설정

 

4. 2번 속성 설정에서 「속성 이름」에 내 블로그 사이트 명을 입력합니다. 「보고 시간대」는 대한민국으로 변경해줍니다. 그리고 「고급 옵션 보기」를 클릭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속성-설정

 

5.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 만들기」를 활성화합니다. 「웹사이트 URL」에 내 블로그 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과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 둘 다 만들기」와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에 대해 향상된 측정 사용 설정」 체크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유니버설-애널리틱스-속성-만들기

 

6. 3번 비즈니스 정보는 별도의 선택없이 「만들기」를 클릭하셔도 되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업종 카테고리, 비즈니스 규모 등 선택하시면 됩니다. (크게 중요하지 않음)

 

 

7. 「Google 애널리틱스 서비스 약관 계약」 창이 뜨면 「GDPR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 약관에도 동의합니다.」 체크 후  「동의함」클릭합니다.

 

8. 「웹 스트림 세부정보」에서 「측정 ID」를 복사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측정-ID-복사

 

9. 내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화면에서 「플러그인」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구글 애널리틱스」를 클릭합니다. 「측정 ID 또는 추적 ID」에 방금 전 복사한 「측정 ID」를 붙여 넣은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구글-애널리틱스-설정

 

10. 다시 구글 애널리틱스로 돌아와 「Google 태그 설치하기」에서 「직접 설치」를 클릭합니다. 「수동으로 google 태그 설치」 오른쪽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 코드를 복사합니다.

 

구글-태그-설치-코드-복사

 

11. 다시 티스토리 관리 화면으로 돌아가 「꾸미기」 >  「스킨편집」을 클릭합니다. HTML 편집화면 <head> 태그 바로 밑에 미리 복사해 둔 「Google 태그」를 붙여 넣은 후 「적용」을 클릭하면 티스토리와 구글 애널리틱스의 연결 설정이 완료됩니다.

 

티스토리-구글-태그-삽입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 데이터 확인하기

 

이제 티스토리와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 왼쪽하단 톱니바퀴 모양 관리화면으로 들어가 「추적정보」 > 「추적코드」를 클릭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추적-코드

 

 

「테스트 트래픽 전송」을 클릭하면 테스트 트래픽이 전송되고 상태 표시창에 "최근 48시간 동안 수신한 트래픽 1명의 활성 사용자가 있습니다."라고 뜬다면 연결이 제대로 된 것입니다.

 

구글-애널리틱스-테스트-트래픽-전송

 

마치며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까지 마쳤으니 이제 구글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를 어떻게 확인하는 지와 용어들에 대해 어떤 의미인지 정리해 보고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 볼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관련글: 내 블로그 검색 결과를 향상하는 구글 서치 콘솔 설정하기

반응형